함께 만들기

함께 만드는 수업으로 대한민국 100년을 잇다

3.1운동과 대한민국 임시 정부 수립 100주년을 기념하여 미래엔이 특별한 프로젝트를 준비했습니다. 역사, 한국사 수업에 사용하신 동영상, 사진, 수업 계획안, 활동지 등 선생님의 소중한 컨텐츠를 모아주세요. 모아주신 콘텐츠는 자료집으로 엮어 모든 선생님과 함께 나눌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기간: 2019년 5월 31일 (금)

함께 만들기 100주년 이미지

미래엔 교과서로 다시보는 대한민국 100년

1919년

3·1 운동과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918년 제1차 세계 대전이 끝날 무렵 미국의 윌슨 대통령이 제창한

민족 자결주의는 약소 민족에게 독립 국가를 건설할 수 있는 희망을 주었다.

상하이의 독립운동가는 제1차 세계 대전 후에 열린

파리 강화 회의에 독립 청원서를 제출하기 위해 대표를 파견하였다.

일본에 있던 한국 유학생은 도쿄에서 2·8 독립 선언을 발표하였다(1919).

이후 3월 1일 우리 역사상 최대 규모의 민족 운동인

3·1운동이 일어났으며 이는 민족 대표의 독립 선언, 학생·시민의 평화 시위였다.

3·1운동을 통해 민족의 독립 의지를 세계 만방에 천명하였으며,

이를 계기로 중국 상하이에 민주 공화제를 표방한 대한민국 임시 정부가 수립되었다.

  • 6·10만세 운동 당시 서울 태평로 가득 메운 시민들

    6·10만세 운동은 사회주의 진영과 민족주의 진영이

    연대함으로써 민족 유일당 운동의 공감대를 형성하였다.

  • 광주 학생 항일 운동을 보도한 신문기사

    [동아일보] 1929. 11. 6

1945년~1948년

광복 그리고

대한민국정부 수립

줄기차게 전개된 항일 독립운동과 연합국의 승리로 1945년 광복을 맞이하였다.

하지만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미·소 중심의 냉전 체제가 형성된 가운데, 남북한에는

이념과 체제가 서로 다른 정부가 수립되었다. 통일 정부를 수립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있었지만, 끝내 남과 북은 분단의 아픔을 겪어야만 했다.

남한에서는 1948년 5·10 총선거를 통해 구성된 제헌 국회에서 국호를 대한민국으로

정하고 헌법을 공포하였다. 이 헌법은 대통령 중심의 민주 공화정 체제를 바탕으로

하였으며, 임기 4년의 대통령은 국회에서 선출하도록 하였다. 대통령으로 선출된

이승만은 대한민국 정부의 수립을 국내외에 선포하였으며(1948. 8. 15),

유엔은 대한민국을 한반도의 유일한 합법 정부로 승인하였다.

  • 4·19 혁명 당시 계엄군의 탱크

    위에서 환호하는 사람들(1960)

    민주주의를 요구하는 학생과 시민의 요구로

    이승만은 하야 성명을 발표하였다.

  • 3·15 부정 선거 당시 조를 짜서 투표하러

    가는 유권자

    자유당은 조별 투표, 투효함 바꿔치기 등

    부정선거를 저질렀다.

1980년 ~ 1987년

5·18 민주화 운동과

6월 민주 항쟁

군부 세력을 향한 5·18 민주화 운동이 1980년 광주에서 시작되었다. 군부 세력은

비상 계엄령을 전국으로 확대하고 시위대와 시민들에게 무차별적 폭력을 휘둘렀다.

이에 분노한 광주 시민들이 저항하자 더욱 강하게 진압하면서

더 많은 사상자가 발생했다. 이 운동은 계엄군이 전남도청을 점령하며 막을 내렸지만

이는 자유 민주주의 국가에 대한 열망에 불씨를 지폈다.

1987년 1월 서울대생 박종철이 경찰의 고문을 받고 사망하는 사건이 일어났다.

4월 13일에는 전두환 대통령이 직선제 개헌을 거부하는 성명을 발표했으며

6월 9일에는 이한열이 시위 도중 최루탄에 맞아 쓰러지는 사건이 발생했다.

연이은 사건으로 6월 10일, 6월 18일에는 학생과 시민들이 거리로 나와 '호헌 철폐,

독재 타도'를 외치며 시위를 벌였다. 결국 6월 29일 직선제로 개헌을 약속하는

6·29 선언이 발표되어 자유 민주주의 국가를 향한 발돋움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