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 Together Korea
100주년 이미지

3.1운동 및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100주년 기념
함께 만들기에 참여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관심을 보내주신 선생님들과 함께
‘역사 체험활동 수업자료’를 모아 자료집으로 발간하였습니다.
대한민국 근현대사를 발로 걷고, 몸으로 느끼며 배우는
소중한 자료를 함께 공유해주세요.

대한민국 100년 함께 만들기 역사 체험활동 수업자료

공유 하기 E-book 보기 자세히 보기

대한민국 임시정부

제공 : 참쌤스쿨

Play

근현대 주요 테마별
역사 체험활동 수업자료

활동 수업 테마 22가지|체험 전∙중∙후 활동, 현장 정보|체험 수업 사례, 활동지

대한민국 근현대사 활동수업 테마 22가지를 소개하였습니다.
체험 전-중-후 활동을 차시별로 상세하게 안내하고, 활동지 및 수업 결과물을 제시하여 활동 내용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활동에 필요한 개별 활동지 및 모둠 활동지에 교사용으로 예시를 제시하고, 한글파일을 함께 제공합니다.
체험활동에 따른 학생별 ‘특기사항 체크리스트‘ 및 ‘생활기록부 기재 예시’를 참고하면 과정 평가 및 기록에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역사의 현장에서 ‘나’를 찾다

교실 안과 교실 밖에서 만난 대한민국 100년의 역사를 통해 학생들은 한 번 뿐인 인생을 어떻게 살 것인가를 고민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앞으로 펼쳐질 역사의 주인으로 살아가겠다는 다짐도 했습니다.
본 프로젝트가 다양한 역사 체험 활동을 준비하는 선생님께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역사 체험활동 자료집] 펴내는 글 중에서

자세히 보기

대한민국 100년

미래엔 교과서로 다시보는 대한민국 100년

3·1 운동과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918년 제1차 세계 대전이 끝날 무렵 미국의 윌슨 대통령이 제창한 민족 자결주의는 약소 민족에게 독립 국가를 건설할 수 있는 희망을 주었다.

상하이의 독립운동가는 제1차 세계 대전 후에 열린 파리 강화 회의에 독립 청원서를 제출하기 위해 대표를 파견하였다.

일본에 있던 한국 유학생은 도쿄에서 2·8 독립 선언을 발표하였다(1919).

이후 3월 1일 우리 역사상 최대 규모의 민족 운동인 3·1운동이 일어났으며 이는 민족 대표의 독립 선언, 학생·시민의 평화 시위였다.

3·1운동을 통해 민족의 독립 의지를 세계 만방에 천명하였으며, 이를 계기로 중국 상하이에 민주 공화제를 표방한 대한민국 임시 정부가 수립되었다.

만세 시위

만세시위

평화적으로 전개되던 시위는 일제의 발포와 가혹한 탄압에 맞서 점차 무력 저항 운동으로 확대되었다.

#역사부도 68p #역사② 49p
대한민국 임시 정부 출범

대한민국 임시 정부 출범

임시 정부는 외교 활동에 유리하고, 각 지역 독립운동 세력과 연락이 편리한 상하이에 위치하였다.

#역사② 46p

활발한 독립운동의 전개

3·1운동 이후 학생들은 국내의 항일 운동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이들은 평소에 학내 문제의 해결이나 일본인 교사를 배척 등을 요구하는 동맹 휴학 운동을 활발하게 전개하며 간접적인 방법으로 항일 운동을 전개하였다.

1926년 순종이 세상을 떠나자 사회주의 세력이 일부 민족주의 세력 및 학생층과 연대하여 대규모 만세 시위를 계획하였으나, 사전에 발각되어 실패하였다.

그러나 조직이 발각되지 않은 학생층은 순종의 인산일인 6월 10일에 일제의 삼엄한 경비를 뚫고 격문을 뿌리며 독립 만세 시위를 벌였다.

6·10 만세 운동은 준비 과정에서부터 일제의 탄압을 받았기 때문에 3·1운동처럼 전국으로 확산되지는 못하였다. 그러나 준비 과정에서 민족주의 진영과 사회주의 진영의 연대 노력은 이듬해 신간회가 창립되는 데 큰 영향을 끼쳤다.

1929년 광주발 통학 열차 안에서 일어난 한·일 학생 간의 충돌을 계기로 광주 학생 항일 운동이 일어났다.

민족 차별에 대한 분노와 반일 감정이 한꺼번에 폭발하면서 일어난 이운동은 3·1 운동 이후 국내에서 일어난 가장 규모가 큰 민족 운동이었다.

6·10만세 운동 당시 서울 태평로 가득 메운 시민들

6·10만세 운동은 사회주의 진영과 민족주의 진영이 연대함으로써 민족 유일당 운동의 공감대를 형성하였다.

# 역사부도 70p

광주 학생 항일 운동을 보도한 신문기사 [동아일보]

# 역사부도 70p

광복 그리고 대한민국정부 수립

줄기차게 전개된 항일 독립운동과 연합국의 승리로 1945년 광복을 맞이하였다.

하지만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미·소 중심의 냉전 체제가 형성된 가운데, 남북한에는 이념과 체제가 서로 다른 정부가 수립되었다.

통일 정부를 수립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있었지만, 끝내 남과 북은 분단의 아픔을 겪어야만 했다.

남한에서는 1948년 5·10 총선거를 통해 구성된 제헌 국회에서 국호를 대한민국으로 정하고 헌법을 공포하였다.

이 헌법은 대통령 중심의 민주 공화정 체제를 바탕으로 하였으며, 임기 4년의 대통령은 국회에서 선출하도록 하였다.

대통령으로 선출된 이승만은 대한민국 정부의 수립을 국내외에 선포하였으며(1948. 8. 15), 유엔은 대한민국을 한반도의 유일한 합법 정부로 승인하였다.

드디어 맞은 광복의 기쁨

드디어 맞은 광복의 기쁨

서대문 형무소에서 출소한 독립투사와 시민이 만세를 부르며 기뻐하고 있다.

# 역사부도 78p # 역사② 76p
대한민국 임시 정부 수립 국민 축하식(1948. 8. 15)

대한민국 정부 수립 국민 축하식

대한민국 정부가 3·1운동과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정신과 법통을 계승하였음을 천명하였다.

# 역사부도 79p # 역사② 79p

독재 정권을 무너뜨린 4·19혁명

1960년 3월 15일 정·부통령을 뽑는 선거가 치러졌다. 자유당은 조별 투표, 투효함 바꿔치기 등의 부정행위를 저질렀다.

이에 경상남도 마산에서 학생과 시민들이 부정 선거를 규탄하는 시위를 벌였고 경찰이 발포를 하면서 사상자가 발생하였다.

또한 4월 11일 마산 앞바다에서 실종되었던 마산상고 학생 김주열이 발견되면서 국민적 분노가 커졌다.

여러 학생과 시민이 '3·15 부정 선거 다시 하라', '민주주의 사수하자'등의 구호를 외치며 이승만 정부를 규탄하는 시위인 4·19 혁명을 벌였고 서울에서 시위를 벌이는 학생과 시민에게 경찰이 무차별 총격을 가하여 많은 사상자가 발생하였다.

4월 25일에는 대학교수들까지 나서서 이승만의 하야를 요구하는 시위를 벌이고 이에 이승만은 다음날 하야 성명을 발표하고 대통령직에서 물러났다.

4·19 혁명은 학생과 시민이 힘을 합쳐 독재 정권을 무너뜨린 최초의 민주주의 혁명으로, 우리나라 민주주의 발전에 기초를 세운 혁명이었다.

3·15 부정 선거 당시 조를 짜서 투표하러 가는 유권자

자유당은 조별 투표, 투효함 바꿔치기 등 부정선거를 저질렀다.

# 역사부도 82p

4·19 혁명 당시 계엄군의 탱크 위에서 환호하는 사람들(1960)

민주주의를 요구하는 학생과 시민의 요구로 이승만은 하야 성명을 발표하였다.

# 역사부도 82p

5·18 민주화 운동과 6월 민주 항쟁

군부 세력을 향한 5·18 민주화 운동이 1980년 광주에서 시작되었다.

군부 세력은 비상 계엄령을 전국으로 확대하고 시위대와 시민들에게 무차별적 폭력을 휘둘렀다.

이에 분노한 광주 시민들이 저항하자 더욱 강하게 진압하면서 더 많은 사상자가 발생했다.

이 운동은 계엄군이 전남도청을 점령하며 막을 내렸지만 이는 자유 민주주의 국가에 대한 열망에 불씨를 지폈다.

1987년 1월 서울대생 박종철이 경찰의 고문을 받고 사망하는 사건이 일어났다.

4월 13일에는 전두환 대통령이 직선제 개헌을 거부하는 성명을 발표했으며 6월 9일에는 이한열이 시위 도중 최루탄에 맞아 쓰러지는 사건이 발생했다.

연이은 사건으로 6월 10일, 6월 18일에는 학생과 시민들이 거리로 나와 '호헌 철폐, 독재 타도'를 외치며 시위를 벌였다.

결국 6월 29일 직선제로 개헌을 약속하는 6·29 선언이 발표되어 자유 민주주의 국가를 향한 발돋움을 하였다.

서울의 봄

서울의 봄

대학생과 시민이 '신군부 퇴진','유신 헌법 철폐'를 주장하며 대규모 시위를 벌였다. 외신에서이를 '서울의 봄'이라고 표현하였다.

# 역사부도 83p
6.29

6·29 선언

6월 민주 항쟁의 결과 여당의 대통령 후보인 노태우가 직선재 개헌을 수용한다는 '6·29 선언'을 발표하였다.

# 역사부도 83p